안녕하세요! AI와 광고 PR 강의를 듣고 있는
22학번 조현하입니다!
여러분들은 영화를 자주 시청하시는 편인가요?
저는 학창시절 때부터 혼영을 다닐 정도로
영화를 아주 사랑하는 사람 중 한 명인데요!
그래서 AI와 관련된 주제를 생각하다
영화와 한 번 엮어 글을 써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AI 도입은 불가피하다. '나는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을 것으로 보며, 그냥 말을 타고 다니겠다'는
식으로 말해 봐야 소용없다. 세상은 그런 식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위에 첨부한 인물과 글은 이번 2024년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은
'조지 루카스' 감독인데요.
조지 루카스 감독의 말처럼 이제 영화들은 AI 도입을 당연시 여기고 있습니다.
AI 영상 제작 기술이 나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 시나리오나 영상 제작까지
모두 AI로 제작한 영화가 나오기도 할 정도인데요.
따라서 영화 업계에서 AI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관련 사례와 함께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디에이징 기술과 영화의 결합' 에 대해 알아보러 가시죠!
디에이징 (De-aging) 기술이란?


먼저 디에이징이 뭔지 궁금하실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디에이징 기술이란 AI 그래픽의 디에이징 기술은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나 동영상에서 인물을 더 젊어 보이게 만드는 새로운 분야입니다.
이 기술은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과거 회상 장면에서
배우의 노화를 방지하거나 특정 역할에 맞게 더 젊어 보이게 하는 데 사용되면서 널리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위에 첨부한 사진은 배우 윤여정의 20대 모습을 AI 디에이징으로 재현한 광고의 일부인데요.
광고처럼 70대의 윤여정 배우를 디에이징을 통해
20대의 윤여정 배우의 얼굴과 음성 등을 구현해내는 것이죠!
https://www.youtube.com/watch?v=nv_pIz4YMis
디에이징(De-aging) 기술을 활용한 영화 [해외 사례]
그렇다면 영화와 디에이징의 결합 사례를 한 번 확인해 볼까요?


AI 기술을 활용한 디에이징 작업의 사례는
국내보다는 미국의 영화나 TV 시리즈에서 훨씬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이미 2006년 개봉된 <엑스맨 - 최후의 전쟁>과
2009년 개봉된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를
시작으로 과거를 회상, 재연하는 플래시백 장면에서
출연자들의 옛날 모습을 재현해 내는 주요 기술로 AI 디에이징이 활용됐습니다.
이제는 거의 15~20년 전의 과거일 때부터 AI를 활용했다니!
되게 신기하지 않나요?




이제는 AI 디에이징 작업으로 제작된 영화를 빈번히 접할 수 있습니다.
해외 사례는 국내와 마찬가지로 드라마보다는 영화에서의 활용도가 훨씬 많은 상황이라고 합니다.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의 '히어 (Here)는 포레스트 검프의 감독과 배우들의 재결합으로 주목받은 작품입니다.
동시에 이 작품은 AI를 활용한 디에이징 기술로 화제를 모았습니다!
제작진은 연령대별로 다른 배우를 캐스팅하는 대신
AI를 사용해 행크스와 라이트의 외모를 전체적으로 수정했습니다.
이를 위해 시각 효과 회사인 메타피직(Metaphysic)에서
제공한 실시간 얼굴 교체 및 노화 효과 디에이징 기술을 활용했죠.
촬영 현장에서 스태프들은 2대의 모니터를 동시에 볼 수 있었는데,
각각의 모니터는 배우의 실제 모습과 장면에 필요한 나이에 맞는 모습을 비췄다고 합니다.
저도 제작 환경에 한 번 가 보고 싶은 마음이 드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I_id-SkGU2k
디에이징(De-aging) 기술을 활용한 영화 [국내 사례]
그렇다면 이제 국내 사례도 함께 살펴 보아야겠죠?
디즈니 플러스 드라마 <카지노> - 최민식


국내의 경우 플래시백 장면에서 종종 해당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데요!
최근 디즈니플러스에서 방영한 드라마 <카지노>에서 배우 최민식의
30대 외형과 목소리를 재현하는 데 AI 디에이징 기술이 활용됐습니다.
촬영 현장에 특수장비는 하나도 쓰지 않고 AI를 활용한 후반작업으로 구현됐다고 하는데요.
60대 최민식의 얼굴 위에 AI가 학습한 30대 최민식 얼굴을 합성하는 식인 거죠!
앞서 본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엑스맨’ 등 할리우드 특수효과 영화에서
배우가 머리에 기계를 장착하거나 얼굴 근육에 점을 찍고
모션 캡쳐를 뜨던 방식에 비하면 제작 과정은 훨씬 간단해졌다고 합니다.


넷플릭스 <살인자ㅇ난감> - 손석구
출처: X (옛 트위터)
가장 최근인 작년!
넷플릭스에서 인기를 끌었던 '살인자 ㅇ난감’에서
배우 손석구의 어린 시절로 등장한 아역 배우가 손석구와 너무 닮았다는 점이
화제가 됐었는데요!


관객들이 아역 배우의 정체를 궁금해하자
이창희 감독은 “손석구씨의 어린 시절 사진 여러 장을 이용해 만든 딥페이크”라고 밝혔다고 합니다.
즉, ‘살인자 ㅇ난감’의 경우 먼저 손석구의 어린 시절 사진 여러 장을
AI에 학습시켜 ‘어린 손석구’의 딥페이크 사진을 만들어냈다는 것인데요!
이어 사진을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해 다듬은 뒤
손석구 배우와 닮은 아역 배우인 강지석 배우가 연기한 영상의 얼굴 부분에 합성했다고 합니다.
저는 살인자ㅇ난감을 보진 않았지만, 손석구 아역이라고 뜬 글들을 보고
'와... 저렇게 닮은 아역 배우를 어떻게 구했지?' 라고 생각을 했었는데요!
이번 조사를 하면서 이것도 디에이징 기술이었구나! 하면서 놀랐습니다.
여러분들도 그랬나요?

https://www.youtube.com/watch?v=PCqzOCuorGQ
앞서 본 사례들과 같이 우리는 나이가 든 배우의 어린 시절을 구현해내어
더 많은 재미와 깊은 감동 혹은 깨지지 않고 이어지는 몰입감을 느낄 수도 있지만,
여전히 저작권 문제와 딥페이크 악용 방지는 우리의 중요한 과제입니다.
아무리 AI 기술의 고도화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AI 학습을 위해 수집된 데이터가 가짜 영상이나 음란물 등에 악용될 수 있으며,
여전히 얼굴 변환 기술이 실제 인물의 초상권을 침해할 가능성에 놓여있죠.
언제쯤이면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과 악용들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요?
AI 사용을 한다면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할 문제들인 걸까요?
그렇다면 저는 여전히 AI 사용에 회의적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떤가요?
영화가 AI 기술을 활용하는 3가지 방법
AI가 녹아든 영화계 사례들을 가져왔어요.
www.dudum.io
60대 최민식이 확 젊어졌다?…30대 연기 가능하게 한 ‘비결’ - 매일경제
“60대 배우 최민식 나이를 되돌려라” 디즈니+ ‘카지노’ 후반작업 담당자들 젊게 변신, 현실감 살린 AI 디에이징
www.mk.co.kr
Extension
AI 디에이징은 시간과 돈의 장벽을 넘을 수 있을까
www.kocca.kr
영화, 드라마 속 CG로 회춘한 배우들
'기술력 무엇?' 영화, 드라마 속 CG로 회춘한 배우들 | '세월 앞에 장사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돈이 많든, 적든 누구나 시간이 지나면 늙게 마련이죠. 그러나 영화나 TV 드라마에서는 기술을 통해
brunch.co.kr
손석구 빼닮았네… 드라마 나온 아역배우의 정체
손석구 빼닮았네 드라마 나온 아역배우의 정체 어린시절 사진 이용해 AI가 만들어 갈수록 정교해지는 딥페이크
www.chosun.com
[에듀코카] 스토리텔링으로 완성하는 탐사 보도
콩! 한국콘텐츠진흥원 에듀코카에서 매주 화요일 발송하는 콘텐츠 레터📧
edukocca.stibee.com
'Ad Tech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의 숲' 전문가? 너도 될 수 있어 : AI가 알려주는 '동물의 숲' 공략법 (0) | 2025.04.22 |
---|---|
뮤직 이즈 마이 라이프 (0) | 2025.04.22 |
야구와 AI? (0) | 2025.04.22 |
챗GPT로 사주를 볼 수 있다? (0) | 2025.04.22 |
AI가 만든 광고 : 창작의 경계를 넘다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