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디어영상광고학과 20학번 임재성입니다!
오늘날 우리들은 대 AI시대에 살고있습니다
우리 삶에서 얼마나 많이 녹아있는지부터 시작하여,
각종 문제점들과 우리들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지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1. 당신이 모르는 사이, AI는 이미 당신을 지배하고 있다
“나는 AI를 안 써!”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건 착각입니다.
AI는 이미 당신의 스마트폰, 인터넷 검색, 쇼핑, 영화 추천, 심지어 당신이 먹는 음식까지 결정하는 데 개입하고 있습니다.
🔴 "AI가 당신보다 당신을 더 잘 안다고?"
- 넷플릭스, 유튜브, 인스타그램 피드를 보고 있으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 AI가 당신의 취향을 학습해 딱 맞는 콘텐츠를 끝없이 추천하고 있음
- 쿠팡, 아마존에서 뜨는 "당신을 위한 추천 상품"?
👉 당신의 검색 기록과 구매 습관을 기반으로 AI가 당신이 살 물건을 미리 예측
당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디를 가는지,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AI는 이미 알고 있습니다. 심지어 때로는 당신 자신보다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죠.
(참고로 필자는 우울할때 동기부여 릴스가 뜨는거 보고 알고리즘아 고마워를 외침..)
넌 참 상냥하구나
2. AI는 인간을 대체할 것인가? – "당신의 직업, 10년 뒤에도 존재할까?"
한때는 단순 반복 업무만 자동화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AI는 이제 기자, 디자이너, 작곡가, 심지어 변호사까지 대체하려 하고 있습니다.
🛑 "내 직업은 괜찮을까?"
✔️ AI가 이미 대체한 직업들
- 고객센터 직원 → 챗봇 AI (기업들은 AI 상담원 도입으로 연간 수천억 원 절감)
- 번역가 → AI 번역기 (딥L, 구글 번역의 성능이 인간 수준에 근접)
은행원 → AI 뱅킹 (대출 심사, 주식 투자까지 AI가 결정)
✔️ 곧 사라질 수도 있는 직업들
- 기자, 작가 – ChatGPT 같은 AI가 기사와 소설까지 씀
- 디자이너 – 미드저니, 스테이블 디퓨전 같은 AI가 이미지 제작
최근에는 너도 나도 지브리 스타일 ai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있습니다
(유재석, 덱스, 조세호를 지브리 스타일 ai로 변환한 모습)
음악가 – AI가 작곡한 음악이 스포티파이, 유튜브에서 인기
💡 "결론: AI를 활용할 줄 모르면 도태된다!"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닙니다. AI와 협업할 줄 아는 사람이 살아남고, 그렇지 않으면 뒤처지는 세상이 올뿐입니다.
마부들이 자동차를 반대한다고해서
결국 진보된 기술로 인한 편리함이 이겼기 때문에
AI도 똑같이 결국 막을 수 없습니다
3. AI가 당신을 감시하고 있다? – 사생활 침해와 빅브라더 현실화
AI가 편리한 것만은 아닙니다. 우리는 AI에게 편리함을 위해
너무 많은 정보를 넘겨주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 "AI는 당신의 사생활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스마트폰 마이크가 당신을 엿듣는다?
한 번쯤은 경험해봤을 겁니다. 친구랑 특정 브랜드를 이야기했는데,
몇 시간 뒤에 SNS 광고에서 해당 브랜드가 뜨는 것… 😨
스마트폰 귀닫아!!…
✔️ AI 얼굴 인식 시스템, 정말 안전할까?
👉 공항, 쇼핑몰, 길거리 어디서든 당신의 얼굴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될 수도 있습니다..
💀 AI 시대, 사생활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AI를 이용하는 플랫폼이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는지 확인하라.
- 개인 정보 보호 설정을 철저히 관리하라.
- "나는 감시받고 있다"는 의식을 가져라.
4. AI가 인간을 능가하는 날이 올까? – "특이점은 이미 시작됐다!"
많은 과학자들은 AI가 인간 지능을 초월하는 순간, 즉 "특이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말합니다.
📢 "AI가 인간보다 더 똑똑해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를 ai에게 물어보고 있는 나…
✅ AI가 인간보다 더 빠르게 연구하고, 더 정확하게 판단하고, 더 창의적인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 AI가 인간의 감정을 흉내 내고, 심지어 인간을 속이는 수준까지 발전한다면?
✅ 군사 무기까지 AI가 통제하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 "우리는 AI에게 통제당하는 세상에 살게 될까?"
지금은 AI가 인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점점 더 많은 결정을 AI가 내리게 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가 사고를 내면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요? AI일까요, 인간일까요?
5. AI 시대를 살아남는 법 – "우리가 AI보다 뛰어나야 할 것은?"
이제 중요한 건 "AI가 할 수 없는 것"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 "AI는 결코 인간을 완전히 대체할 수 없다!"
✔️ 창의력과 감성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지만, 진정한 창의력과 감성은 인간만이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주름 또한 인간만의 것…
✔️ 윤리적 판단 – AI는 도덕적 기준을 알지 못함. 우리는 AI를 통제하는 역할을 해야 함.
✔️ 비판적 사고력 – AI가 제공하는 정보가 100% 맞는 것이 아님. 우리는 AI가 틀릴 수도 있다는 걸 인지하고 판단해야 함.
"AI를 지배할 것인가, AI에게 지배당할 것인가?"
결국 AI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달라질 것입니다. AI가 무서운 기술이 아니라, 우리가 다루고 활용해야 할 강력한 도구라는 사실..!
"당신은 AI 시대를 준비하고 있습니까?"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공유해주세요!
참고자료
https://blog.naver.com/flitto_inc/223498715876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SNS?! AI 추천 알고리즘 시스템 예시 모음.zip
안녕하세요, AI 언어 데이터 기업 플리토 Flitto 입니다. 여러분은 혹시 무슨 영화를 볼지 고민하는 데 ...
blog.naver.com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0835
이커머스판 'AI 전쟁' 불붙는다...네이버 참전에 데이터 확보 사활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이커머스 업체 간 인공지능(AI)를 필두로 한 경쟁이 불붙고 있다. 네이버가 내년 상반기 AI 쇼핑앱인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를 별도 출시한다. 또 \'네이버배송\'을
www.digitaltoday.co.kr
https://www.mk.co.kr/news/business/11044741
[기고] 쿠팡 알고리즘 논란, 정말 ‘조작’일까 - 매일경제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
www.mk.co.kr
https://blog.blux.ai/이커머스-ai-추천-더-잘할-수는-없을까-2-19738
https://www.sedaily.com/NewsView/29S1F2S8MM
논란의 네이버 뉴스 추천…AI 알고리즘 상세 안내
네이버가 자사의 뉴스 인공지능(AI) 알고리즘 안내 페이지를 이용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고 7일 밝혔다. 네이버 ...
www.sedaily.com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0716/125948689/2?utm_source=chatgpt.com
“일자리 90%, 6년뒤 AI로 대체 가능”
현재의 국내 일자리 10개 가운데 9개는 불과 6년 뒤에 90% 이상의 업무가 인공지능(AI)과 로봇으로 대체 가능하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전문화된 고숙련 노동도 더…
www.donga.com
https://ksp.etri.re.kr/ksp/plan-report/file/42.pdf
https://www.seoul.co.kr/news/society/law/2024/09/11/20240911500136
영화 ‘마이너리티’가 현실로?…“범죄 예측·차단 기대” vs “개인정보 침해 우려” [생각나
법무부, 범죄 예측·대응 AI 등 개발 “‘미래의 범죄’ 효율적으로 차단” “AI 위험도 평가 장치 마련해야”, 늦은 저녁 범죄 발생률이 높은 경기도의 한 우범지역. A씨가 이곳에 들어서자 휴대
www.seoul.co.kr
'Ad Tech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뭐야 이 사람 죽은 거 아니었나? (1) | 2025.04.14 |
---|---|
자소서도 AI로 쓰는 시대.. 과연 도움이 될까? (0) | 2025.04.14 |
상상의 도서관에 실체를 더하다 - AI를 활용한 소설 창작 (0) | 2025.04.13 |
ChatGPT 이미지 생성 업데이트와 AI 저작권 이슈 (2) | 2025.04.13 |
디지털화 되고 있는 소통 방식 '캐릭터 챗 서비스'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