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디어영상광고학과 20학번 이준영입니다! 오늘은 MCP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MCP란 무엇인가? 🤔
"MCP 서버는 Model Context Protocol(MCP)을 구현하는 서버로, AI 시스템이 <외부 도구, 데이터 소스, 서비스>와 표준화된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AI 모델은 다양한 외부 시스템과의 통합이 용이해져, 문서 요약, 데이터 검색, 외부 API 호출 등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게 당최 무슨 말인지 감이 안 잡히죠?
이해하기 쉽도록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USB-C 타입 포트>에 비유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여러분, 노트북에 <모니터, 카메라, 마우스, 마이크, 외장하드> 등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기 위해서 어떤 선을 꼽나요?
요즘엔 보통 USB-C포트로 규격이 통일이 되었죠?
덕분에, 서로 다른 회사의 제품이어도 다양한 외부 기기들을 노트북에 손쉽게 연결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출처: What is Model Context Protocol (MCP)?)
그리고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Chat GPT와 같은 LLM 모델들의 사용범위를 확장하고, 더욱 똑똑하게 쓰기 위해서는 다양한 외부프로그램과 연결해야합니다.
여기서 MCP는 USB-C포트와 같은 하나의 규격으로,
Chat GPT, Claude 등의 AI 모델을 <Gmail/ 워드프레스/ 유튜브/ 노션>과 같은 외부 프로그램과 연결 해주는 기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MCP= USB-C 포트 라고 비유해도 무방합니다!
만화로 예시 상황을 봐볼까요? 여러분이 GPT에게 '배달의 민족에서 치킨을 시켜줘'라고 지시했다 가정해봅시다.
첫 번째 상황에선 GPT가 배달의 민족 앱에 엑세스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당연히 치킨을 시킬 수 없겠죠.
하지만 두 번째 상황 처럼, 배달의 민족 MCP서버와 GPT를 연결하면 GPT가 배달의 민족 앱을 직접 컨트롤하여 치킨 주문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배달의 민족 MCP 서버(server)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서버의 개념보단 단순히 <앱 또는 플러그인의 개념>과 더 가깝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물론 기존에도 API를 통해 외부 프로그램과 AI모델을 연결할 수 있었지만, API는 각각의 규격에 따라 개발자들이 따로 제작을 해야했기 때문에 확장성/ 편의성 면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였습니다. 즉, 지금까지 합의하에 정해진 표준규격으로 AI앱을 개발하지 못했기 때문에 기업과 일반 사용자들이 다양한 외부 프로그램과 AI모델을 연결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USB-C 같은 통일된 규격이 없어서 <모니터, 카메라, 마우스, 마이크, 외장하드> 같은 외부 기기들을 노트북 한 대에 모두 연결하는데 매우 어렵고 번거로웠던 과거의 모습과 비슷하죠!
하지만 이제는 MCP라는 누구에게나 개방된 프로토콜을 통해 AI활용의 진입장벽이 더욱 낮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개발자들은 규격이나 연동 같은 부분에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 자신의 AI앱을 Clade AI나 Corsor AI와 같은 주류 LLM모델과 쉽게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깃허브에 수백 가지의 MCP 서버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게 바로 표준규격이 가지는 생태계 참여와 확장의 힘이죠!
MCP는 Open AI의 공동창업자인 다리오 아모데이가 설립한 엔트로픽(Claude AI)에서 작년 11월에 발표한 기술입니다. 발표 당시 MCP 기술이 AI의 <표준 통신 규격> 될 수 있을거라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그리고 최근에서야 MCP의 활용성과 잠재력이 발굴되며, SNS와 AI커뮤니티에서 MCP서버를 활용한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AI 에이전트로 향하는 게임 체인저라고 평가 받고 있습니다.
현재는 Claude AI와 Cusor AI가 대표적으로 MCP 서버 연결을 지원하고 있으며, Open AI의 CEO 샘 알트만은 MCP 기술이 <AI 표준 통신 규격>으로서 성공적인 정착을 축하하며, 곧 Chat GPT도 MCP 규격을 지원한다고 발표한 만큼, AI 생태계 확장이 더욱 기대되고 있습니다.
🔗 참고 자료:
2. MCP 활용 예시: 유튜브 MCP Server 🎬
하지만 말로만 들으면 MCP를 활용하면 뭐가 좋은지 감이 안 잡히죠?
그래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유튜브를 MCP를 통해 AI모델과 연결했을 때 어떤 작업을 할 수 있는지 아래 링크를 통해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참고 자료:
어떤가요? Claude AI라는 모델을 유튜브 MCP Server를 연결해줬을 뿐인데, 수십분 짜리 유튜브 영상을 PDF파일로 시각화하여 학습자료로 잘 정리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기존의 AI모델들이라면 꿈도 꾸지 못할 작업 퀄리티가 나오죠. 이게 바로 MCP의 장점이자, 우리가 그토록 바라던 1인분 이상하는 AI에이전트의 모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마케팅에서도 활용 가능: CRM 자동화 서비스 (허브스팟 & 클라비요) 📊
그럼 이제 MCP를 통해 우리가 AI모델을 다양한 외부 프로그램/서비스와 연결해서, 여러 업무를 자동화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죠?
그리고 당연히 마케팅 업무도 자동화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중 저는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관계관리를 이제는 누구나 쉽게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대표적인 CRM 자동화 서비스로는 허브스팟(HubSpot)과 클라비요(Klaviyo)가 있습니다.
- 허브스팟(HubSpot)🛠️: 고객 데이터와 마케팅 캠페인을 자동으로 관리하고, AI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고객 목록 세분화 등이 가능. (허브스팟이란?) (허브스팟과 AI 활용)
- 클라비요(Klaviyo)📩: 이메일 마케팅 및 SMS 마케팅을 자동화하여 고객별 맞춤 메시지를 전달하고,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마케팅 성과 최적화 가능. (클라비요 AI 에이전트라란?)
이러한 CRM 자동화 서비스를 MCP를 통해 Chat GPT나 Claude AI와 연결한다면, <허브스팟이나 클라비요> 같은 CRM 자동화 서비스를 공부하지 않아도 Chat GPT가 대신 작업해주겠죠!
4. 자동화를 또 자동화? 클라비요를 MCP에 연결해서 활용한 사례 🔗
해외 커뮤니티인 레딧에서 자신이 평소 사용 하던 클라비요를 MCP서버로 Claude AI와 연결하여, 원래라면 7단계의 작업을 거쳐야 했을 이메일 마케팅 작업을 한 한 큐에 마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5. MCP 사용이 더욱 쉬워질 것: 앱스토어처럼 간편한 적용 📱
MCP가 등장한지 5개월 가량이 지나며, MCP 서버의 활용이 점점 더 쉬워지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다소 복잡한 설정과 코드가 필요했지만, 현재는 많은 튜토리얼 영상들이 올라와 있고, 다양한 MCP서버들을 모아다가 직관적인 UI와 함께 제공하는 사이트들도 생겨나고 있습니다.향후에는 앱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로드하듯이 MCP서버를 Chat GPT 등의 AI모델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덕분에 개인들도 손쉽게 AI를 통해 마케팅과 콘텐츠 운영을 자동화할 수 있겠습니다.
🔗 참고 자료: 다양한 MCP서버를 모아 볼 수 있는 사이트들
6. 유튜브에서 하루 이틀이면 MCP 사용법을 익힐 수 있다 🎓
유튜브에 MCP 설치/활용법을 다룬 튜토리얼 영상들이 많이 올라와 있으며, 하루 이틀만 학습해도 기본적인 사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AI활용에 관심이 많다면, MCP 서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업무 효율을 높여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자료로 괜찮아 보이는 MCP 튜토리얼 영상을 첨부하였으니 시간이 된다면 MCP를 사용하여 나만의 AI에이전트를 구축해봅시다! 🚀
🔗 참고 자료:
레퍼런스
https://www.reddit.com/r/mcp/comments/1jki8cn/claude_oneshotting_7_tool_calls_to_send_email/
https://revenuefy.io/ko/grow/hubspot-chatgpt
https://www.getguru.com/ko/reference/klaviyo-ai-agent
https://www.youtube.com/watch?v=oAxunD8k0C8
https://www.youtube.com/watch?v=gsYMAgQUG7o&list=PL39YR20ow6ChOn93wVfbgU6sPIdC07rAm&index=1
https://www.threads.net/@choi.ㅌopenai/post/DHfWftvAwvW?xmt=AQGza0SjXCm_cduQg_KYPGB7EL-vgPxFHtsRSa7kWnyL0Q
'Ad Tech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만의 캐릭터와 AI 채팅 : ZETA (0) | 2025.04.09 |
---|---|
집에서 간단하게 품질 좋은 음악 만들 수 있다고? (0) | 2025.04.08 |
후각 AI, 어디까지 왔을까? (0) | 2025.04.08 |
AI 비서가 스마트폰을 대체한다 . . . ? (0) | 2025.04.08 |
나 너 좋아하네, 네 말이 다 맞았어: 나도 몰랐던 내 취향을 아는 너 (11)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