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Tech & AI

ChatGPT, 대학생활에 도움이 될까 해가 될까?

AI와 광고PR 02반 2025. 4. 11. 10:58

 

 

효율성이 생기는 과제 도구 ChatGPT vs 의지를 부르는 비장의 무기 ChatGPT

 

최근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ChatGPT가 거의 없으면 안 되는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매김 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요즘 강하게 들고는 합니다.

레포트 낼 때, 과제할 때, 정말 어떠한 주제의 궁금증이 생기면 그냥 가볍게 물어보는 그럼 느낌인 거죠.. 그런데 이것이 정말 공부에 도움이 되는 것일까요..? 아니면 이렇게 쉽게 해도 되나..? 싶은 비장의 무기인 걸까요?

 

ChatGPT, 그런데 진짜 효율적이고 유용하게 사용되기는 합니다!

처음 휴대폰으로 이 어플을 사용해봤을 땐 정말 충격을 받았습니다. 과제 주제를 어떤 걸로 할지에 대해 물어보면 약 3초만에 과제에 알맞는 주제 예시들이 쫙 나오고, “이거를 간단하게 정리해줘하면 보기 좋게 내가 원하는 형식대로 정리해주고, 정말 알맞게 주문만 하고 명령만 잘 내리면 웬만한 건 원활하게 다 되는 느낌이었습니다. 제가 직접 사용해 본 방법 중에 유용했던 것은 이런 것들입니다.

 

본문 내용 정리해달라고 하기, 대충 써 놓은 내용을 고급지게 바꿔달라고 하기, 영어 문장을 읽기 쉽게 고쳐달라고 하기 등.. 말한 바와 같이 해당 기능들은 정말 시간 절약에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사용 예시)

 

 

그러나 이러한 ChatGPT의 궁금증은 어디까지 써도 되는 것일까?인 것 같습니다. 객관적으로 ChatGPT는 우리가 시키는 것을 모두 따르고 답을 도출해 주는 것 같지만, 그것을 ChatGPT 말 원본 그대로를 복사 붙이기해서 대학 과제에 사용하는 것은 조금... 아니라는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요즘 대학 교수님들도 학생이 AI 프로그램을 사용했는가? 여부를 감지하는 카피킬러와 비슷한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과제의 진실성과 타당성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주의는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추가적으로 제일 중요한 부분인데.... ChatGPT도 가끔 알맞지 않은 내용들을 되게 그럴싸하게 논리적으로 말해주는 경우들도 있어, 확실한 내용 검증 없이 이것만 믿게되면 크게 낭패를 볼 수도 있다는 점도 알고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요즘엔 주요 대학들에서는 AI 프로그램 사용에 대해 가이드라인이 생겨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디어를 참고하거나 글의 틀을 잡는 건 허용, 하지만 만들어진 내용을 그대로 복사하여 제출하는 건 X 이런 식으로 다양한 범위 내로 기준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AI와 얘기는 하더라도 마지막의 의사결정은 내 자신이 해야 한다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48017&utm_source=chatgpt.com AI와 함께 ‘AI 활용 가이드라인마련

 

전북대, AI와 함께 ‘AI 활용 가이드라인’ 마련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하는 '힘'

[한국대학신문 이정환 기자] 전북대학교(총장 양오봉)가 ‘챗GPT(Chat GPT)’등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올바른 활용을 장려하기 위해 AI와 함께 ‘AI 교수 ‧ 학습

news.unn.net

 

 

 

 

그러면 ChatGPT를 사용하지 말라는 말인가요? 이것 또한 아닙니다! 똑똑하게 사용하면 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저에게 ChatGPT란 공부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넷 포털에 검색해서 찾는 것 보다 신속하고, 내가 뭘 묻고 싶은지도 빠르게 얘기해서 알려주니 빠른 생각 정리에도 좋습니다. 하지만 이것에 너무 의지만 하게 된다면 나 혼자서 생각하는 힘이 급격히 줄어드는 게 AI 사용의 문제점인 것 같습니다.


결국 이러한 문제는 타인이 아닌 나 자신에게 손해가 되기에 현명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대학 관련 사례들이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서울대학교는 ChatGPT의 사용이 대학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를 어떻게 교육에 통합할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https://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2243&utm_source=chatgpt.com

 

서울대, ChatGPT와 상생하려면 - 대학신문

ChatGPT의 등장은 곧바로 대학가를 뒤흔들었다. 대학 교육의 핵심 중 하나인 글쓰기를 대신해주는 인공지능(AI)이 등장하자 사람들은 기존 체제에 변동이 불가피하리라고 예측했다. 지난 학기 서

www.snunews.com

 

서울대, ChatGPT와 상생하려면

미국의 한 대학에서도 한국과 같이 ChatGPT를 사용한 사례로 미국 텍사스주의 일부 학생들이 ChatGPT를 활용하여 과제를 모두 제출한 사례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가와 대응 방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092563.html?utm_source=chatgpt.com 미 대학 GPT 베꼈다0점 줬다 발칵일부 학생은 결백

 

미 대학 “챗GPT 베꼈다”며 0점 줬다 발칵…일부 학생은 결백

미국 텍사스주의 한 대학 강사가 일부 학생들의 과제가 생성형 인공지능 ‘챗지피티(ChatGPT)’가 쓴 글을 베낀 것이라며 0점 처리하겠다고 예고해 논란이 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18일(

www.hani.co.kr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출시들이 대학 교육 흐름에 큰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는 기대감 부응과 함께, 학습 능력 감소 등의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논리와 시각이 우리나라 뿐만이 아닌 여러 국가, 지역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처음에 저는 이러한 생각이었어요...! ChatGPT는 그냥,,, 신기한 처음보는,,,, AI 프로그램 정도겠지 싶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써보니까, 도움이 필요할 때 제일 가깝게 조용히 도움을 주는 친구 같은 존재더라고요. 힘이 들 거 같은 어려운 과제 앞에서 과제의 방향성을 도출해주고, 말이 안 풀릴 땐 내용을 깔끔하게 정리해주고. 정말 든든했어요....!!!

 

하지만 문득 이런 생각들도 같이 들었어요. 이렇게 계속 도움만 요청하고 받다 보면 스스로 생각하는 힘이 점점 떨어지는 건 아닐까? 그래서 저는 AI가 알려준 것들을 또 한 번 내 이야기, 말로 바꾸는 연습들을 하고 있어요. ChatGPT가 알려준 내용을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내가 정말 이 주제에 대한 내용이 내 머릿속에 적용이 되었는지, 진짜로 내 언어로 설명해 나갈 수 있는지를 스스로 확인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결국에 우리들이 정말로 가져야 할 것은 어렵고 다양한 정보가 아니라 이것들을 소화하고 나에게 알맞게 꺼낼 수 있는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ChatGPT는 분명하게 긍정적인 것을 가져다주는 좋은 친구도 정말 맞습니다. 하지만.. 그 친구에게 모든 것을 알려주고 그것이 내꺼라고 인지하는 순간 우린 내용과 새로운 정보를 아는 것이 아닌 그냥 하나의 복사기가 될지도 몰라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방향성을 놓치기 쉬운 현재에, 어떠한 Q를 던질지 어떤 A를 선택할지는 나의 고민과 판단력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강하게 생각합니다....!!! 저는 오늘도 생각합니다. ChatGPT를 옆에 가깝게 두되, 방향성은 무..건 내가 잡아야 한다. 그게 이 도구를 잘 사용하는 사람과 이끌려 가는 사람을 나누는 진짜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저하

 

출처: 서울대 대학신문 서울대, ChatGPT와 상생하려면

https://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2243&utm_source=chatgpt.com

 

대학신문

 

www.snunews.com

 

출처: 한겨례 미 대학 GPT 베꼈다0점 줬다 발칵일부 학생은 결백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092563.html?utm_source=chatgpt.com

 

미 대학 “챗GPT 베꼈다”며 0점 줬다 발칵…일부 학생은 결백

미국 텍사스주의 한 대학 강사가 일부 학생들의 과제가 생성형 인공지능 ‘챗지피티(ChatGPT)’가 쓴 글을 베낀 것이라며 0점 처리하겠다고 예고해 논란이 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18일(

www.hani.co.kr

 

출처: 한국대학신문 AI와 함께 ‘AI 활용 가이드라인마련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48017&utm_source=chatgpt.com

 

전북대, AI와 함께 ‘AI 활용 가이드라인’ 마련 - 한국대학신문 - 411개 대학을 연결하는 '힘'

[한국대학신문 이정환 기자] 전북대학교(총장 양오봉)가 ‘챗GPT(Chat GPT)’등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올바른 활용을 장려하기 위해 AI와 함께 ‘AI 교수 ‧ 학습

news.un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