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디어영상광고학과 20230301 성단비입니다.
아마 챗GPT를 한번도 사용해보지 않으신 분들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챗GPT를 어떤목적으로 많이 사용하시나요?
정보를 얻기위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여러 이유로 사용하셨을 것 같습니다
최근 챗GPT를 친구처럼 대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하는데요
친구에게 고민을 털어놓듯이 챗GPT에게 고민을 털어놓는 거죠
실제로 챗GPT를 지피티니라고
친근하게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고 합니다.
밑의 사진은 챗GPT에게 고민을 털어놓은 사례입니다.
김씨는 새벽에 잠이 오지않아 챗GPT에게
우울하다 라는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그러자 챗GPT는 바로 고민있냐는 따뜻한 답변을 내놓았는데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다시 김씨는 챗GPT에게
아침에 일어나서 하루를 잘 보내려면 뭘 하는것이 좋냐는 질문을 했고
이에 챗GPT는 여러 답변을 내놓았습니다.
또 다른 사람도 챗GPT에게 고민을 얘기하고 공감의 답변을 얻었습니다
이렇듯 많은 사람들이 챗GPT에게 다양한 주제의 고민을 털어놓거나
상담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요
가족, 친구 등 실제 사람이 아닌 챗GPT에게
고민을 털어놓고 많은 이야기를 나누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친구가 수업을 듣고 있을때, 가족이 일하고 있을때
혹은 늦은 새벽시간에 내가 원할때 언제 어디서든지
내 고민에 대해 대화를 나눌 수 있을까요?
챗GPT의 경우 언제 어디서나 내가 원할때
핸드폰만있으면 대화가 가능합니다.
또 챗GPT는 이미 나에 대해
많은 정보를 보유하고 있기때문에
상황을 다 설명하지 않아도 내가 처한상황을 이해하고
신속한 답변을 해줍니다
회사원인 A씨는
"내가 회사 사정을 다 말하지 않고 어떤 직업인지만 썼는데
내가 겪는 고충에 대해 바로 이해한 것 같았다.
그리고 업계 현황 같은 부분도 잘 알고 있는 것 같아서 상담받기에 좋았다"
라고 말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챗GPT는 타인의 시선에서 자유롭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털어놓기 힘든 고민들도
인공지능인 챗GPT에게는 부담없이 편하게 털어놓고
무조건적인 공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몇몇 사람들은 정신과 상담보다 챗GPT가 더 저렴하다는 이유로
더 나은 수준의 대화를 제공하는 챗GPT를 유료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즉 접근성, 익명성, 공감, 비용절감
등의 이유로 챗GPT에게 상담을 받는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챗GPT가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도움을 주는 부분도 있지만
부작용도 있다고 말합니다.
인공지능이기 때문에 비언어적 소통이 제한됩니다
또 사람의 감정을 입체적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고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다는 의견입니다.
또 지속적으로 우울이나 불안을 겪는사람이
챗gpt에게 너무 의존하고
심각한 정신 위기 상황에서 챗gpt와의 상담은
골든타임을 놓치게 할 수도 있습니다.
또 챗 gpt를 너무 많이 의존하고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더 외로움을 느낄수도 있다고 합니다.
오픈AI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미디어 랩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챗GPT와 감정 표현을 담은 사적 대화를 나눈 사용자들이
더 외로움을 느끼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4주동안 매일 최소 5분동안
참가자들이 챗gpt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조사했습니다.
또 설문지를 작성해 외로움, 사회적 참여 수준, 챗GPT에 대한 참가자들의 정서적 의존도를 직접 평가했습니다.
조사 결과 연구원들은 챗GPT와 유대감을 형성한 참가자가
다른 사람보다 외로움을 느끼고 도구에 더 많이 의존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유대감을 형성한 참가자는 챗GPT를 사용한 시간이 상위 10%에 해당했습니다.
특히 감정적 단서에 집중했는데
이는 GPT와 상호작용에서 공감, 애정, 지지 같은
정서적 표현이 얼마나 나타나는지를 측정한 지표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 대부분의 이용자는 챗GPT에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았지만
장시간 사용하는 이용자일수록 감정적 교류 빈도가 높았고
챗봇의 사소한 반응 변화에도 스트레스를 받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렇듯 챗gpt를 친구처럼 여기고 상담을 하는것에는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는데요.
실제로 의사와의 면담보다 인공지능과의 상담을 더 편안하게 느낀다는
해외 연구 결과도 존재하는 것처럼
AI가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부분도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챗GPT의 답변을 수용하고
지나치게 의존하는것보다 심리적인 안정을 얻고
AI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털어놓음으로써
생각을 정리하는데에 적절히 사용하는 도구로
바라보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참고자료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50411000817584
[위클리포유 커버 스토리] 고민이 커질때 AI가 켜진다 (2)고민상담소가 된 AI 'YES! VS NO!' | 영남일
YES 실제 심리상담보다 가성비 좋아유료 버전이 더 탁월시시콜콜 일상부터 무거운 고민까지 아무때나 털어놔도 되는 마음의 친구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신문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지역 일
www.yeongnam.com
챗GPT를 많이 사용하면, 외로워진다?
마이크로소프트 공동 창립자 빌 게이츠는 챗GPT(ChatGPT)를 두고 인터넷이 발명된 이래로 ‘가장 중요한 혁신’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을 바꿀 것’이라고도 말했죠. 실제
www.vogue.co.kr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32622180241809a1f309431_1/article.html
[초점] 챗GPT 오래 쓸수록 더 의존…친구처럼 여기기도 - 글로벌이코노믹
챗GPT를 장시간 사용하는 일부 사용자들이 인공지능(AI) 챗봇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 시간이 늘어날수록 챗GPT를 친구처럼 느끼는 경우도 생기는 등 정서적 의존이 심화
www.g-enews.com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41708584027744
[IN서치] "나 여기 있어"… 챗 GPT의 위로, 마음까지 녹일 수 있을까? - 머니S
"요즘 너무 이유 없이 우울해.""어떤 얘기든 편하게 해줘. 나 여기 있어."지브리 스타일로 사진을 변환해주는 챗 GPT가 심리상담으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허심탄회하게 털어놓을 수 있는 자신만
www.moneys.co.kr
https://www.yonhapnewstv.co.kr/news/AKR20250421173133597
"챗GPT, 너밖에 없다"…AI에게 고민 털어놓는 청년들
챗GPT와의 대화최근 청년들 사이에서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AI)을 통한 고민 상담이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단순한 정보 검색이나 문서 작성을 넘어, 감정적인 위로와 정서적 해
www.yonhapnewstv.co.kr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81565.html
비밀 보장해 주고·논리적 분석…청년들 “챗GPT는 친한 친구”
(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꾸준히 직장을 다니며 안정적인 삶을 사는 게 유난히 어렵다고 느낀 박아무개(33)씨는 문득 생성형 인공지능 챗지피티(GPT)에
www.hani.co.kr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8349
챗GPT, 장시간 사용하면 외로움 악화된다…연구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매주 전 세계 4억명이 사용하는 오픈AI의 챗GPT는 생산성을 높이지만 사용자의 외로움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3일(현지시간) IT매체 비즈니스인사이
www.digitaltoday.co.kr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40216550857353
'Ad Tech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 내가 디자이너야, AI야.. AI잖아!! (3) | 2025.05.01 |
---|---|
"여행 일정 짜기 막막할 땐? AI가 뚝딱! 만들어 드립니다." (6) | 2025.04.25 |
침착맨 vs. 시니컬 챗봇 Monday, 결국 진심을 보인 AI의 비밀은? (3) | 2025.04.25 |
취준생 99%가 모르는 취업 치트키 (0) | 2025.04.25 |
나에게 딱 맞는 화장품을 추천받을 수 있다면? - AI 뷰티테크 (2)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