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진짜 되네?” 밈 마케팅에 대해 샅샅이 파헤쳐 봤습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는 미디어영상광고학과 21학번 신승민입니다😄
여러분은 인터넷 상에서 유행하는 ‘밈’을 자주 사용하시나요?
저는 친구들과 대화를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터득하고 사용하게 되더라구요 ^_^
오늘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밈과 기업의 마케팅이 합쳐진 밈 마케팅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밈 마케팅이란?
✅ 먼저 밈이라는 단어는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에서 처음 제시된 용어로,
모방을 통해 구전처럼 전해지는 문화적 요소를 뜻합니다.
✅ 밈 마케팅은 '밈 (Meme)' 과 '마케팅 (Marketing)'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인터넷 밈을 활용한 마케팅을 뜻합니다.
2. 그렇다면 밈 마케팅은 왜 주목을 받고 있을까요?
✅ 밈 마케팅은 그 콘텐츠가 시의적절하고 재미가 보장된다면 젊은 소비층 사이에서 자발적으로 재가공 및 확산되기 때문에 제품 홍보 효과의 제고와 함께, 소비자의 긍정적 구매 의도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디지털 기기 이용에 익숙한 MZ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등장하며 밈(Meme)을 마케팅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죠!
✅ 이처럼 밈이 강력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등장하면서 기업들은 밈을 통한 마케팅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해시태그 마케팅이나 챌린지 마케팅 등과 같이 더 적극적인 방법으로 밈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SNS상에서 유행하는 말들로 기업에서 마케팅을 진행한다고 하면
왠지 모를 친숙함이 들어 괜히 한 번 더 보게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매일같이 새로운 유행어와 밈이 만들어지는 만큼
해당 밈을 사용할 때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점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3. 밈 마케팅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 MZ세대와 같은 젊은 수요층은 이미 유행하고 있는 기존의 콘텐츠보다는 새로운 것에 호감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따라서 밈을 마케팅에 활용할 때는 유행을 재빨리 인지하고 새로운 밈이 등장하기 전에 마케팅을 신속하게 실행해야 합니다!
✅ 사용하고자 하는 밈의 맥락도 이해해야 합니다. 해당 밈에 풍자나 조롱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죠.
✅ 또한 마케팅의 방향성과 브랜드의 정체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유행만을 좇다가 브랜드의 이미지에 타격을 입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마지막으로 시의성과 창의성을 갖춘 마케팅이라고 할지라도 고객들 간의 소통이 없다면 기업이 기대하는 마케팅 홍보 성과를 얻기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활발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밈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면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사용해야한다는 사실❗
그럼 마지막으로 그동안 우리가 봐왔던 밈 마케팅 사례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4. 밈 마케팅의 사례
1) 버거킹의 ‘사딸라’
https://youtu.be/sCptN9888p0?si=KVlgKX-cb_mSJpYJ
어디선가 많이 본듯한 익숙한 광고이죠?!
🟩 과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야인시대’의 유행어 ‘4달라’를 응용하여
자사의 버거 세트 가격이 5천 원이 채 되지 않음을 강조하는 버거킹의 광고입니다.
🟩 해당 광고는 대중의 흥미요소를 자극해 많은 이슈가 되었고, ‘2020 에피 어워드 코리아’ 식품 부문에서 수상을 하기도 했습니다.
2) NH농협은행의 '넙흐옙은행'
https://youtu.be/xtInEM7UGXM?si=Rbk5QkmNdrDuKNw2
🟩 ‘넘흐옙은행’은 예쁜 마음을 저축하는 가상의 은행으로,
농협은행이 ‘너무 예쁘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SNS 밈을 활용하여
제작된 농협은행 광고입니다.
🟩 은행의 이름을 사용하여 노래까지 나왔던 당시의 유행을 재빠르게 따라간 농협은행의 성공적인 마케팅이라고 봐도 되지 않을까요?
3) 서브웨이의 ‘안창 비프 컬렉션 – 미지의 테이스트’
https://youtu.be/bOZsz5lYHSg?si=U8GDON7XF2nKlOB-
🟩 뮤지컬 배우 최재림이 모델이 되어 SNS 상에서 인기를 끌었던
뮤지컬 ‘시카고’와 오페라 ‘리타’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광고입니다.
🟩 SNS에서 회자되는 영상을 패러디하여 눈길을 끌면서 재미를 더해 화제를 모았으며, 광고 영상이 업로드 이틀 만에 합산 60만 조회수를 기록하여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 광고까지 맛있는 써브웨이”, “광고가 이렇게나 재미있다니” 등 댓글에서도 시청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5. 마무리하며
이렇게 세 가지의 사례를 살펴보았는데요!
버거킹과 서브웨이처럼 밈을 만들어낸 당사자를 광고 모델로 쓴다면
보는 이들의 즐거움이 배가 되어 광고 효과를 더 높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급변하는 미디어 세상 속에서 앞으로도 수많은 밈이 탄생할 것이고,
우리는 그때마다 더 창의적이고 획기적인 콘텐츠들을 만나게 되겠죠?!
‘밈 마케팅’은 시기적절하게 사용한다면 그 어떠한 아이디어보다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콘텐츠 마케터가 되어 밈을 활용한 재미있는 콘텐츠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미래의 제 모습을 상상하며 오늘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양날의 검, '밈 마케팅' 제대로 사용하기 - 소비자평가
밈(Meme) 마케팅밈 마케팅은 \'밈(Meme)\'과 \'마케팅(Marketing)\'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인터넷 밈을 활용한 마케팅을 뜻한다. 밈이라는 단어 자체는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라는 책에서 유
www.iconsumer.or.kr
밈(Meme) 마케팅...젊은 수요층 자발적 홍보 효과 - 반론보도닷컴
반론보도닷컴은 박사/석사 과정의 객원 기자가 직접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분야의 연구(논문)를 요약ㆍ소개하는 코너를 통해 업무에 바쁜 홍보인과 마케터들에게
www.banronbodo.com
써브웨이 ‘안창비프 컬렉션’, 재치 있는 영상 ↑ - 디스커버리뉴스(DISCOVERYNEWS)
[디스커버리뉴스=정기환 기자] 신선하고 건강한 식사를 제공하는 써브웨이(Subway®)가 프리미엄 ‘안창비프 컬렉션’ 출시에 맞춰 공개한 광고영상이 화제다. 뮤지컬 배우 최재림이 모델로 SNS상
www.discoverynew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