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Tech & AI

나에게 딱 맞는 화장품을 추천받을 수 있다면? - AI 뷰티테크

AI와 광고PR 02반 2025. 4. 25. 08:33

안녕하세요 미디어영상광고학과 23학번 박연주입니다😊

요즘은 성별, 연령에 관계없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가꾸고 관리하는데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 역시 뷰티 제품에 많은 관심이 있어 화장품을 구매할 때 뷰티 유튜버의 추천 영상이나 다양한 리뷰를 찾아보곤 하는데요. 하지만, 화장품 하나를 고르기 위해 성분, 리뷰, 가격 등을 일일이 찾아보기 힘들더라구요 😥

혹시 여러분도 나한테 맞는 뷰티제품을 간편하고 전문적으로 추천받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 없으신가요?

오늘은 이런 고민을 해결해줄 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화장품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소비자>

롯데온 - 구매 데이터 상위 내용 활용

 

K-뷰티의 인기가 꾸준히 높아지고,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 분야가 인공지능(AI) 기술과 결합된뷰티테크시장으로 확장되면서 국내 화장품 업계도 신기술과 신제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이 흐름 속에서 롯데쇼핑의 이커머스 플랫폼인 롯데온은 2025 4, 신규 서비스인뷰티 AI(인공지능)’를 선보였습니다.

 

롯데온은 이번 서비스를 준비하며 지난 1년간 축적된 구매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중 상위 데이터를 선별해 AI의 답변 시스템에 반영했습니다. 이를 통해 더욱 정교하고 유용한 추천 서비스를 구현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 것이 특징입니다.

 

뷰티 AI는 온라인 구매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구매 과정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옴니채널 마케팅 방식으로 고객들은 모바일에서 제품을 검색하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물을 확인한 뒤 최종 구매는 브랜드 공식몰이나 소셜미디어에서 하는 등 다양한 채널을 넘나들며 쇼핑하며 끊김 없는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실제로 제가 뷰티Ai를 직접 사용해봤는데요.

 

 

질문에 맞는 상품을 구체적인 용도와 조건으로 섬세하게 추천받았다는 생각이 들었고

제품마다 구매사이트와 함께 성분이나 특징을 간략히 요약해서 제시함으로써 신속한 구매를 결정짓게 했다는 점에서 만족도가 높았고 평상시에도 자주 애용하게 될 것 같습니다~

 

 

<연구원>

화장품 발림성 분석 기술

 

 

소비자 피부타입별 제품의 발림성을 연구하기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지난해 5월 인공지능으로 화장품의 발림성을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아모레퍼시픽으로부터 화장품 질감 측정을 위한 10종 이상의 제형 샘플을 제공받아 약 5000개에 달하는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발림성 연구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발림성은 화장품 및 피부 의약품이 피부에 도포되었을 때 피부 상에 퍼지는 성질을 말하는데 기계적인 물성(마찰특성)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실제 사용할 때 느끼는 감성적 요인(커버감, 촉촉함, 매트함 등)까지 고려하는 성질입니다.

기술 사용은 기존 사람의 감각에 의존하여 발림성을 평가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차에 따른 오차 또한 줄여 객관적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을 통해 연령대와 계절에 맞는 화장품 추천, 피부타입 별 등 더욱 개인맞춤화된 추천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광고>

화장품 AI 모델의 적절성 논란

 

 

최근 뷰티 업계에 등장하기 시작한 ai 광고 모델이 논란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다이소에 입점한 저가 화장품들이 인기를 끌면서 해당 브랜드들이 ai 모델을 활용한 광고를 적극적으로 내세운 것이 시작점이 된 것인데요.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피부에 직접 사용하는 화장품을 ai 모델을 활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현재 다양한 업계에서 AI 광고 모델을 활용하는 추세이지만, 화장품처럼 직접 피부에 사용하는 제품에서 AI 모델을 활용하면 구매 과정에서 정보의 신뢰성이 잃을 수 있다는 우려입니다. 그러나 더욱 저렴한 화장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면서 다이소와 같은 저가 화장품 시장에서는 원가 절감을 위해 광고 제작비를 줄일 필요가 생겼습니다.

 

뷰티 광고업계는 AI 모델의 활용이 광고 제작의 전 과정에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훨씬 경제적으로 작용되는 점을 잘 활용하되, 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할 때 가장 신뢰하는 시각적 정보에 대한 사실여부에 대한 혼란을 막아줘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업계는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명확한 표기와 제품 특성에 맞는 적절한 활용을 해줘야 합니다.

 


[참고 자료]

“AI 화장품 발림성 분석 기술을 단계 끌어올렸습니다” < RESEARCH < NEWS < 기사본문 - THE K BEAUTY SCIENCE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2154200030

 

"화장품 뭘 살까? AI에 물어봐"…롯데온 '뷰티 AI' 출시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롯데쇼핑[023530]의 온라인 쇼핑몰 롯데온은 고객 취향에 맞는 뷰티 상품을 찾아주는 신규 서비스 '뷰티 A...

www.yna.co.kr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27590

 

AI 모델이 광고하는 화장품, 혁신인가 기만인가 - 소비자평가

최근 뷰티 업계에 등장하기 시작한 AI 광고 모델이 X(구 트위터)에서 뜨거운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다이소에 입점한 저가 화장품들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면서, 해당 브랜드들이 AI 모델

www.iconsumer.or.kr

 

 

https://www.the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22

 

“AI로 화장품 발림성 분석 기술을 한 단계 끌어올렸습니다” - THE K BEAUTY SCIENCE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AI 기술 기반으로 화장품의 발림성(Spreadability)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으로 화장품을 피부에 발랐을 때 느낄 수 있는 질감을 99% 이상 알아맞힐 수 있

www.thekbs.co.kr

 

 

https://openads.co.kr/content/contentDetail?contsId=15286

 

2025년 옴니채널 마케팅 주목해야 할 핵심 전략 3가지

디지털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소비자들의 쇼핑 방식도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분리된 채널로 운영되었다면, 이제는 하나의 연결된 여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openads.co.kr